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할 요소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의 해석이 필요합니다. 하지만 이러한 해석이 다소 엉뚱한 방향으로 수업을 흘러가게 만들지도 모릅니다.
예를들어
소인수분해를 이해한다 -> 소인수분해를 계산할 수 있다. -> 익숙해 지면 된다. -> 쉬운 계산 방법을 알려주고 반복하게 만들자.
와 같이 해석하고 단순 반복 형태의 문제를 많이 제공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. 이러한 방법이 잘못되었다고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닙니다. 하지만 스스로 위의 방법이 본인에게 적합한지, 적합하지 않은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필요합니다.
따라서 우리는 그러한 기준을 먼저 정해두고 수업을 준비해야 합니다. 잠시 아래의 질문들에 대해 답해 보시길 바랍니다.
- 어떤 수업을 하고 싶으신가요?
- 선생님의 담당 과목을 학생들이 배우는 목적은 무엇인가요?
- 학생들은 어떻게 배우나요?
위 질문들에 대한 답이 수업을 설계할 때, 내가 바라는 방법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기준이 될 것입니다. 수학을 담당하는 저는 다음과 같이 생각합니다.
저는 학생들이 배움을 즐거움을 회복하는 수업을 하고 싶습니다. 호기심 가득하던 어린 시절을 지나, 학교 생활을 하며 학생들의 호기심은 사라지고 배우는 것이 과업처럼 느껴지는 듯 합니다. 학교라는 공간이, 특히 수업은 학생들에게 배우는 것이 즐거운 일이라는 것을 다시 알게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 그래서 언제든지 새로운 것을 배우고 도전할 수 있는 학생들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. 이러한 목표에 수학은 꽤나 적합한 과목입니다. 수학은 복잡한 상황을 간결하게, 그리고 어려운 과제를 보다 쉽게 만들어 줍니다. 학생들이 자신의 과제를 수학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경험들을 하게 된다면 학생들은 다시금 배움의 즐거움을 회복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. 따라서 수업도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이 필요해 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. 학생이 해결하기 어려워 답답하고 막막한 순간에 적절한 도구를 수학이 제공하여 주거나, 더 나아가 스스로 그러한 도구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수학을 배우고, 행할 것이며, 배움의 행위의 가치를 느끼게 될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.
따라서 저의 경우는 소인수분해의 이해를 앞서 제시한 해석 처럼 진행하여 반복하여 다량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방법입니다. 이 방법은 학생들이 소인수분해를 잘 해낼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은 될 수 있을지 모르나, 학생들에게 또 다시 배움을 멀리하게 만드는 일이라 생각됩니다.
이처럼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할 경험을 선택할 때에는 자신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수업의 모습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. 그리고 그러한 목표의 부합여부가 유일한 판단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.
선생님의 목표는 학생들이 배움을 즐거워하도록 하는 것이고, 수학은 그 목표에 부합하는 적합한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.
메모를 입력하세요
학생들이 배움의 즐거움을 회복하는 것, 수학으로 어려운 과제를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경험들을 제공해야한다.
메모를 입력하세요
학생들이 진정으로 배우는 것이 즐거워야 한다는 설명이 납득됩니다. 수학을 통해 복잡한 상황을 간결하게, 쉬운 문제를 어렵게 만들어보는 등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이 필요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겠군요.
메모를 입력하세요
학생들이 배우는 것을 즐기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에 동감합니다. 수학적 개념이 필요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메모를 입력하세요